1. 개설 상속세의 계산구조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상속세와 증여세는 재산의 무상이전이 발생한 원인이 사망과 관련되어 있는지 여부에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상속세 계산구조를 먼저 파악하고 증여세 계산구조를 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상속세 계산구조의 큰 틀을 먼저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상속세과세가액은 돌아가신 분이 남긴 상속재산의 금액을 의미하고, 그 금액에서 각종 상속공제(상속재산 중 일부는 상속세가 과세되지 않는 혜택을 주는 것)를 차감한 금액이 상속세과세표준(세율이 적용되는 대상)이 됩니다.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면 산출세액이 나오고, 거기서 각종 세액공제(산출세액 중 일부는 납부하지 않아도 되는 혜택을 주는 것)을 차감한 금액이 신고납부세액(실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