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주식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 계좌가 여러개일 경우

머니아카이브 2025. 5. 19. 15:20
반응형

1. 들어가며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기간(5/1~5/31)입니다.

대부분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양도소득세 신고대행 서비스를 이용하실테지만,

혹시나 신고대행 신청 기간을 놓치신 경우 직접 신고 및 납부를 하셔야 합니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 계좌가 여러개일 경우

 

 

앞선 포스팅에서 신고방법을 정리하여 말씀드렸습니다(아래 링크 참조).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신고, 납부 총정리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신고, 납부 총정리

1. 해외주식 양도소득세?국내 상장주식을 사고팔면서 시세차익을 얻을 경우 대주주가 양도하는 경우 또는 장외거래의 경우가 아닌 이상 그 이익은 과세대상이 아닙니다. 즉, 일반적인 개인 투자

tax-for-rich.com

 

그런데 증권사별로 계좌 여러 개를 운용하시는 경우 어떻게 계산하여야 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정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증권사 계좌가 여러개인 경우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하나의 증권사에서 계좌가 여러개라면, 해당 증권사의 양도소득세보조자료를 다운받으실 경우 모두 합산되므로 상관이 없습니다.

그러나 증권사 별로 계좌가 있어서 여러 증권사를 이용하고 계신다면, 각 증권사별로 양도소득세보조자료를 다운 받으신 다음,

증권사별 과세표준을 직접 합산하여 신고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삼성증권에서 양도손익이 +1,000만 원, 메리츠증권에서 +400만 원, 토스증권에서 -300만 원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삼성, 메리츠, 토스증권에서 양도소득세보조자료를 각각 다운 받으신 다음, 홈택스에서 과세표준을 입력할 때에는 각 보조자료에 기재된 과세표준을 합산한 금액을 입력하시면 됩니다(과세표준은 양도손익에서 필요비용 등을 뺀 금액인데, 보조자료에 다 기재되어 있습니다).

 

즉, (편의를 위해 양도손익이 과세표준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위 예시의 경우에는 홈택스에 1,100만 원(=1,000+400-300)을 과세표준으로 입력하는 것입니다.

 

계좌가 다수라면 위 과정이 꽤나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신고대행서비스 신청기간을 놓치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귀찮은데 신고 안하면 어떻게 되나요?

양도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무신고가산세 20%가 부과됩니다.

계산을 잘못해서 과소신고할 경우에도 과소신고가산세 10%가 부과됩니다.

또한 신고만 하고 납부를 하지 않을 경우에도 납부 불성실 가산세가 일 0.022% 부과됩니다.

 

번거롭다고 신고,납부를 하지 않을 경우 내야 할 세금이 크게 늘어날 수 있으니 반드시 신고,납부를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